요금할인이 스크린골프 수입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까? 비즈골프 관리자 · 2021-03-05 12:29:54


[스크린골프뉴스] 스크린골프장의 최대 비수기는 6월이다. 가정의 달인 5월은 여러 행사가 많고 또 날씨도 좋아 외출이 잦아진다.
따라서 스크린골프장은 아무래도 5월이 되면 비수기에 접어들고 그 절정은 6월이 되며, 장마가 시작되면 이용객이 다시 늘게 된다.
 
스크린골프장에 이용객이 많다가 줄어들게 들게 되면 스크린골프장 운영주는 매상을 올리기 위해 여러 가지 수단을 당구하게 된다.
매장 대회도 해보고 또 이미 확보한 단골 고객들이 스크린골프에 대한 관심이 식지 않도록 문자 메시지도 보내기도 한다. 그러한 여러 가지 방법이 효과가
있으면 모르지만 대부분 큰 효과가 없다. 고객들이 각종 행사나 가정일, 또 나들이가 많아서 스크린골프장을 방문, 골프를 칠 시간이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점주들은 마지막으로 가격을 좀 내려서 이용객을 늘려볼까 하는 생각까지 하게 된다. 가격을 내리면 다른 스크린골프장에 갈 이용객들이 좀 더
몰릴 수는 있겠지만 그것도 한계가 있다. 특히 가격을 내리는 것은 위험 요소가 많다. 특별한 이벤트가 아니라면 가격은 될 수 있으면 고수하는 것이 좋다.
한번 가격을 내리면 올리기가 쉽지 않다. 특히 하나의 가게가 가격을 내리면 주위의 가게도 가격을 내릴 가능성이 있다. 그렇게 되면 그 지역은 도미노로
가격이 무너질 위험이 있는 것이다.
 
이번에는 어쨌든 가격이 수익률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 지 실제로 계산을 한번 해 보고자 한다. 어느 가게가 비수기에 접어들자 매출을 올리기 위해
오전과 오후에 가격을 각각 2,000원을 내렸다고 가정을 하자. 그러면 그것이 한 달 수익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 지 한번 실제로 계산을 해 보겠다.
 
스크린골프장 수입
스크린골프장의 수입은 이용객들이 지불하는 게임료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스크린골프장에서는 음료수나 골프장갑이나 골프볼 등 간단한 골프 용품을 판매하기도 하지만 그 수입은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미미하다.
따라서 스크린골프장의 수입은 게임비로만 잡겠다. 3억9천만원 정도를 투자해서 방 5개를 운용하는 스크린골프장을 표준으로 하겠다.
회전율은 보통의 가게로 보고 2회전을 계산하면 될 것 같다. 3년 정도 전에는 2.5회전이나 3회전도 계산했다.
그러나 지금은 매장이 많이 늘어 2회전 정도가 표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

1회전은 5대x3.3명(골프 게임하는 사람 평균 수)x1인당 요금이다. 보통 스크린골프장은 오전 요금이 낮고 오후 요금이 높다.
12시를 기준으로 하기도 하고 늦은 곳은 오후 3시를 기준으로 하기도 한다. 18홀 기준으로 오전 요금은 15,000원, 오후 요금는 25,000을 기준으로 하겠다.
하루 2회전을 오전 1회전, 오후 1회전으로 하면 될 것이다.

오전 1회전은 5(대)x15,000(원)x3.3(명)x1(회전)=247,000원이다.
오후 1회전은 5(대)x25,000(원)x3.3(명)x1(회전)=412,500원이다.
따라서 하루 매상은 659,500원이 된다. 한 달을 30일로 잡으면 659,500(1일 매상)x30(30일)=19,785,000원이 된다.

그런데 이용 요금을 2,000원 낮췄다고 하고 계산해보자.

오전 1회전은 5(대)x13,000원x3.3(명)x1(회전)=214,500원이다.
오후 1회전은 5(대)x23,000원x3.3(명)x1(회전)=379,500원이다.
하루 매상은 594,000원이 된다. 한 달은 594,000x30=17,820,000원이 된다.

따라서 1인당 2,000원을 낮췄을 때 한 달 매상에서 차이는 1,965,000원이 된다.
즉 한달 수입이 19,785,000이 될 것이 17,820,000원이 돼 한 달에 약 200만원이 줄어든다.

스크린골프장의 지출

스크린골프장의 지출은 대략 다음과 같다. 가장 큰 부분이 임대료(관리비)와 인건비다. 기타 경비도 좀 든다.
기타 경비는 인터넷료, 전화료. 정수기나 공기청정기 렌탈료, 직원 식비, 보안서비스료 등이다. 골프존의 경우 유료 코스료도 무시하지 못할 금액이다.
마지막으로 소득세 등 세금도 지출로 잡아야 한다.
먼저 직원 인건비부터 계산해 보자. 직원은 1인이 교대로 8시간씩 근무하는 것으로 하면 2명이 있어야 한다.
오전 10시에 스크린골프장을 열어서 새벽 2시까지 영업을 하면 총 16시간으로 시급은 평균으로 약 5,500원을 잡으면 된다.
그러면 하루 88,000원x30(한달)=2,640,000원이다.
임대료 월 400만원, 관리비 150만원, 리얼비 200만원, 기타 경비 100만원, 세금 100만원 등을 합치면 지출은 총 12,140,000원이 된다.
 
스크린골프장의 월 수익
 
수입에서 지출을 빼면 수익이 되는데 위에서 할인을 하지 않았을 때 월 수익은 19,785,000-12,140,000=7,645,000원이 된다. 2,000원을 할인했을 경우 17,820,000-12,140,000= 5,680,000이 된다.
할인한 금액이 월 수익에서 그대로 반영된다. 왜냐하면 다른 요소는 거의 고정이기 때문이다. 한달에 200만원이라는 것은 결코 적지 않다.
결국 총 매출의 감소는 순수익 감소로 보아야 한다.
재미있는 점은 5대를 운영할 경우 손님 1인당 1,000원을 덜 받느냐 더 받느냐에 따라 한 달 매상은 100만원씩 줄거나 느는 차이가 발생한다는 점이다.
그러니 골프존 기계를 운영하는 사업자라면 리얼비가 2,000원이니 골프존에 한 달에 200만원을 납부하는 셈이다.
 
수익을 높이려면 회전율을 높여야
위에서 살펴 보았듯이 스크린골프장 수입에서 가장 큰 변수가 회전율과 요금이라는 것을 알수 있다. 회전율이 조금이라도 높으면 수입은 크게 늘어난다.
회전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방법과 가격을 낮추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


가격을 낮추는 방법은 위에서 살펴 보았듯이 1인당 1,000원을 낮추면 한달에 수입이 100만원씩 줄어들 정도로 엄청나게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가격을 낮추는 것 보다 서비스를 잘해서 이용객을 늘리는 것이 더 현명한 방법이다.